선진 각국에서 인정된 최적의 원재료를 사용하여 파이프 내에 유해물질과 부식이 없고 고온 내압환경에서도 우수한 장기 수명을 자랑하는 파이프로서 뛰어난 유연성 및 다양한 형태(롤 또는 직관)의 생산으로 이음매를 최소화하여 간편하고 빠른 시공이 가능한 배관재입니다.

급수급탕용(롤관)
PE-RT(Type II) 파이프 KS M ISO 22391-2
제품코드 / 호칭 / 길이 / 비고
PE100 0015/15/100M/구 KS 규격
PE100 0022/22/100M/구 KS 규격
PE100 0028/28/100M/구 KS 규격
PE100 0016/16/100M/KS(ISO) 규격
PE100 0020/20/100M/KS(ISO) 규격
PE100 0025/25/100M/KS(ISO) 규격
급수급탕용(직관)
제품코드 / 호칭 / 길이 / 비고
PE1 006 0015/15/6M/구 KS 규격
PE1 006 0022/15/6M/구 KS 규격
PE1 006 0028/15/6M/구 KS 규격
PE1 006 0035/15/6M/구 KS 규격
PE1 006 0016/15/6M/구 KS 규격
PE1 006 0020/15/6M/구 KS 규격
PE1 006 0025/15/6M/구 KS 규격
PE1 006 0032/15/6M/구 KS 규격
난방용(롤관)
제품코드 / 호칭 / 길이 / 비고
PE2 100 0016/16/100M/KS(ISO)규격
PE2 100 0020/20/100M/KS(ISO)규격
PE2 100 0025/25/100M/KS(ISO)규격
급수급탕용(직관)
제품코드 / 호칭 / 길이 / 비고
PEL 006 0015/15x5T/6M/KS(ISO)규격
PEL 006 0016/16x5T/6M/KS(ISO)규격
PEL 006 0020/20x5T/6M/KS(ISO)규격
PEL 006 0022/22x5T/6M/KS(ISO)규격
PEL 006 0025/25x5T/6M/KS(ISO)규격
PEL 006 0028/28x5T/6M/KS(ISO)규격
PEL 006 0032/32x5T/6M/KS(ISO)규격
급수급탕용(롤관)
제품코드 / 호칭 / 길이 / 비고
PEC 050 0015/15x22C/50M/난연/일반(적/청/노/녹)
PEC 050 0016/16x22C/50M/난연/일반(적/청/노/녹)
PEC 050 0020/20x28C/50M/난연/일반(적/청/노/녹)
PEC 050 0022/22x28C/50M/난연/일반(적/청/노/녹)
PEC 050 0025/25x36C/30M/난연/일반(적/청/노/녹)
PEC 050 0028/28x36C/30M/난연/일반(적/청/노/녹)
PE-RT Pipe 규격
공칭치수 | 바깥지름(mm) | 두께(mm) | 참고 | ||
---|---|---|---|---|---|
최소 | 최대 | 최소 | 최대 | 내경 | |
16 | 16.0 | 16.3 | 1.8 | 2.1 | 12.4 |
20 | 20.0 | 20.3 | 1.9 | 2.2 | 16.1 |
25 | 25.0 | 25.3 | 2.3 | 2.7 | 20.3 |
32 | 32.0 | 32.3 | 2.9 | 3.3 | 26.2 |
공칭치수 | 생산길이(m) | ||
---|---|---|---|
중량(kg/m) | 롤관 | 직관 | |
16 | 0.08 | 100 | 6 |
20 | 0.107 | 100 | 6 |
25 | 0.167 | 100 | 6 |
32 | 0.274 | - | 6 |
PE-RT Pipe의 용도
구분 |
---|
온수 온돌용 파이프 <온돌용배관> 주택, 아파트 <바닥온수/난방배관> 호텔, 병원, 상가, 학교, 체육관 |
공업용 파이프 화학공장 배관, 열교환기 및 코일용 |
융설용 주차장, 비행장, 운동장, 차고, 도로, 광장 등의 융설용 토양 가온 배관 |
농축산 온수용 파이프 돈사, 양계장, 양어장, 온실 등의 바닥 온수 난방 배관 |
관계 용수용 파이프 채소, 과일 재배용 급수배관 |
PE-XA PIPE의 성능 및 물성
항목 | 기준 | |
---|---|---|
내압시험 | 20℃ x 1시간 | 파괴되지 않을 것 |
95℃ x 22시간 | ||
95℃ x 165시간 | ||
95℃ x 1000시간 | ||
종축복귀성 | 110℃ x 1시간 | ≤2% |
열간내압 크리프 | 110℃ x 8760시간 | 파괴되지 않을 것 |
용융질량 흐름지수 | 190℃ x x5kg x 10분 | 원재료와 비교시 최대 30% 차이 |
항목 | 단위 | 물성 |
---|---|---|
밀도 | g/㎠ | 0.94 |
항복점 인장강도 | ㎏/㎠ | 210 |
파단점 인장강도 | ㎏/㎠ | 370 |
파단점 신율 | % | >800 |
연화점 | ℃ | 123 |
융점 | ℃ | 200 |
충격강도(Notch) | ㎏.㎝/㎝ | No Break |
열팽창계수 | ㎜/m.K | 0.19 |
열전도율 | ㎉/m.hr.℃ | 0.344 |
사용온도범위 | ℃ | - 40 ~ ±100 |
표면경도 | Shore D | 53 |
내 환경응력 | hr | >8760 |
PE-RT 사용온도 및 사용압력
구분 | 사용온도(℃) | 0~20 | ~40 | ~60 |
---|---|---|---|---|
TYPE I | 최고사용압력 (㎏.f/㎠) | 12.5 | 10.3 | 8.2 |
TYPE II | 14.0 | 11.5 | 8.9 |
구분 | ~ 70 | ~ 80 | ~ 90 | ~ 95 |
---|---|---|---|---|
TYPE I | 6.2 | 4.8 | 3.6 | 3.2 |
TYPE II | 7.7 | 6.5 | 5.7 | 4.8 |

- 링조임식 연결 부속은 바디, 링, 캡으로 구성됩니다.
2. 캡을 본체와 결합하여 조임으로 링이 파이프를 조아 기밀이 유지됩니다.

1. 파이프 만곡부의 외측 곡선부터 절단하세요
2. 파이프 절단시 전용 전달기를 사용하여 절단하세요.
3. 파이프의 절단면은 파이프와 직각이어야 합니다.
*주의사항*
톱이나 기타 절단기로 파이프 절단 시는 절단면에 부스러기 등 이물질이 남아 파이프와 연결 부속간에 기물이 유지되지 않아 누수가 될 수 있습니다.
파이프의 절단면이 직각이 되어야 파이프와 부속간의 유격이 최소화되어 누수요인을 제거합니다.

- 캡, 링 순서로 파이프를 삽입하시고 본체를 파이프의 절단면에 밀착되도록 삽입합니다.
*주의사항*
바디를 파이프의 절단면과 이격이 최소화되도록 완전히 삽입하세요.

- 캡을 본체에 결합합니다.
2. 본체를 스패너로 고정하시고 캡을 스패너로 본체에 최대한 결합되게 조여주세요.
*주의사항*
캡을 조일때는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마세요.

1. 연결부속은 바디, 그랩링, 와샤, 고무링, 캡으로 구성됩니다.
2. 그랩링이 연결구에 삽입된 파이프를 잡아주고 고무링이 기밀을 유지하여 누수를 방지합니다.
*주의사항*
사용한 연결구는 크랩링이 손상되므로 재사용을 할 경우 누수의 원인이됩니다.

1, 전용 절단기를 사하여 파이프를 약간 앞쪽으로 돌리면서 관축에 수직으로 절단합니다.
2. 파이프의 절단면이 파이프와 직각으로 되어야 한다.
*주의사항*
연결하는 파이프의 표면에 흠집이 있을 경우 누수가 발생 될수 있으니, 파이프가 긁히거나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1. 파이프 절단 후 파이프 규격에 맞는 서포트 슬리브를 삽입합니다.
2. 연결구 삽입 시 파이프의 지원도 및 그랩링의 조입을 유지하여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서포트 슬리브 미 삽입시 파이프를 잡아주지 못하며 파이프가 이탈할 수 있습니다.

1. 파이프와 이음관을 수평으로 잡고 파이프를 연결구 내부끝까지 밀어 넣는다.
2. 반드시 2단 삽입을 하여야 하며, 연결구의 캡이 완전히 조여져있는 상태에서 밀어 널어야 한다.
*주의사항*
2단 삽입이 되지 않고 오링까지만 삽입 될 경우 파이프가 이탈합니다.

1. 연결부속은 바디, 오링, 슬리브고정링 으로 구성됩니다.
2. 파이프와 슬리브 고정링이 압착되어 기밀이 유지됩니다.
캡을 본체와 결합하여 조임으로 링이 파이프를 조아 기밀이 유지됩니다.

1. 파이프 만곡부의 외측 곡선부터 절단하세요
2. 파이프 절단시 전용 전달기를 사용하여 절단하세요.
3. 파이프의 절단면은 파이프와 직각이어야 합니다.
*주의사항*
톱이나 기타 절단기로 파이프 절단 시는 절단면에 부스러기 등 이물질이 남아 파이프와 연결 부속간에 기물이 유지되지 않아 누수가 될 수 있습니다.
파이프의 절단면이 직각이 되어야 파이프와 부속간의 유격이 최소화되어 누수요인을 제거합니다.

1. 파이프 절단후 파이프 규격에 맞는 압착식 부속에 파이프를 삽입합니다.
*주의사항*
슬리브 고정링 끝 홈에 파이프가 보일때까지 끝까지 삽입해야 합니다.

1. 부속에 파이프를 사입 후 압착식 공구로 슬리브 고정링을 압착한다.
*주의사항*
압착 부위가 원형으로 고르게 압착이 되었는지 원형홈이 뚜렷이 나타났는지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