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E-AL-PERT (Mepol) Pipe 제품 및 규격
호칭경 / 외경 / 참고내경 / 두께 / AL두께
16 / 16±0.3 / 11.5 / 2.25±0.2 / 0.4±0.4
20 / 20±0.3 / 15.0 / 2.5 ±0.2 / 0.4±0.4
26 / 26±0.3 / 20.0 / 3.0 ±0.2 / 0.6±0.4
32 / 32±0.3 / 26.0 / 3.05±0.2 / 0.7±0.4
40 / 32±0.4 / 32.5 / 3.95±0.2 / 0.7±0.4
50 / 32±0.5 / 40.0 / 4.0 ±0.3 / 0.8±0.4
/길이/최소굽힘반경/ 파괴압력 (23℃/80℃)
16 / 50 / 80 / ( 9.8 / 5.9 )
20 / 50 / 100 / ( 8.8 / 4.9 )
26 / 50 / 130 / ( 7.8 / 4.4 )
32 / 50 / 160 / ( 6.4 / 3.9 )
40 / 50 / – / ( – / – )
50 / 6(5.6)/ – / ( – / – )
PE-AL-PERT (Mepol) Pipe의 구조

고온용 폴리에틸렌 층 (내층) : 내열 크리프 특성을 결정하는 층
알루미늄층 (베리어층) : 산소나 유기용제(트리크로로에틸렌, 등유, 가솔린 등)의 관내 침투를 방지하여 형상유지, 내압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고온용 폴리에틸렌 층 (외층) : 알루미늄층을 보호하는 층
접착수지 층 : 알루미늄층과 양쪽의 폴리에틸렌층을 화학적으로 접착하는 수지층
PE-AL-PERT (Mepol) Pipe의 특징
PE-AL-PERT (Mepol) Pipe의 종류 및 용도
제품 | 컬러 | 가용온도 | 최고온도 |
---|---|---|---|
S | 적자색 | 95 | 110 |
R | 아이보리 | 95 | 110 |
W | 청색 | 45 | 65 |
W | 검정 | 95 | 110 |
G | 노랑 | 45 | 65 |
T | 검정 | 95 | 110 |
제품 | 상용압력 | 최고압력 | 20°C 파열 | 용도 |
---|---|---|---|---|
S | 10 | 15 | >90 | 바닥난방 |
R | 10 | 15 | >90 | 라디에이터 |
W | 6 | 10 | >60 | 음용수 중온 |
W | 10 | 15 | >90 | 음용수 고온 |
G | 15 | 20 | >70 | 도시가스 |
T | 10 | 15 | >90 | 공업용 |
Pipe 배관재별 물성
구분 | 메폴파이프 | XL관 |
---|---|---|
내구성 | 장기수명 부식없음 |
산소투과로 부식우려 |
UV 저항성 | 우수 | 태양광선에 취약 |
파괴압력(kg/㎠) | 110 | 25- |
상용압력(kg/㎠) | 25-30 | 5 |
열전도율(㎉/mhr℃) | 0.38 | 0.325 |
최소굽힘반경(mm) | 80(16) | 200(20) |
유량변화 | 없음 | 없음 |
내약품성 | 우수 | 우수 |
해빙 | 가능 | 불가능 |
시공성 | 밴딩성 우수 현장시공 용이 이음매 없는 시공 몰탈파손 안됨 |
밴딩불편(가열) 현장시공 용이 이음매 없는 시공 몰탈파손 안됨 |
구분 | 스테인리스 주름관 | 동관 |
---|---|---|
내구성 | 장기수명 | 부식발생 |
UV 저항성 | 우수 | 우수 |
파괴압력(kg/㎠) | 190 | - |
상용압력(kg/㎠) | 25 | 14 |
열전도율(㎉/mhr℃) | 14 | 322 |
최소굽힘반경(mm) | 50 | - |
유량변화 | 주름부위 이물질 및 스케일로 인한 유량변화 | 녹 및 스케일로 인한 유량변화 |
내약품성 | 염분, 해수, 염산, 유산에 취약 | 염분, 해수, 염산, 유산에 취약 |
해빙 | 가능 | 가능 |
시공성 | 밴딩성 양호 현상시공 용이 이상 발생시 조치곤란 열응력에 의한 몰탈파손 |
밴딩 불편 현장시공 어려움 이음부 많고 숙련공 필요 몰탈파손 |
Pipe별 경제성 비교
구분 | 메폴관 | 동관 | XL관 |
---|---|---|---|
파이프 자재비 | 100 | 146 | 40 |
기타 자재비 | 100 | 177 | 94 |
인건비 | 100 | 152 | 134 |
계 | 100 | 153 | 92 |

- 링조임 연결부속은 바디, 링, 캡, 절연링으로 구성됩니다.
- 캡을 바디와 결합하여 조임으로 링이 파이프를 조여 기밀을 유지합니다.
- 캡을 바디와 결합하여 조임으로 링이 파이프를 조여 기밀을 유지합니다.절연링이 없으면 알루미늄의 부식의 원인이 되므로 절연링이 없는 부속은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 파이프 절단시는 전용절단기를 사용하여 절단하세요.
- 파이프의 절단면은 파이프와 직각이 되어야 합니다.
- 메폴파이프 전용 전원기를 사용하여 관의 정원을 유지시켜야 합니다.
*주의사항*
톱이나 기타 절단기로 파이프 절단 시는 절단면에 부스러기 등 이물질이 남아 파이프와 연결 부속간에 기물이 유지되지 않아 누수가 될 수 있습니다. 파이프의 절단면이 직각이 되어야 파이프와 부속간의 유격이 최소화되어 누수요인을 제거합니다.

- 캡, 링 순서로 파이프를 삽입하고 바디를 파이프의 절단면에 밀착되도록 삽입합니다.
*주의사항*
바디를 파이프의 절단면과 이격이 최소화 되도록 완전히 삽입하세요.


- 캡을 바디에 결합합니다.
- 바디를 스패너로 고정하시고 캡을 스패너로 바디에 최대한 결합되게 조여주세요
*주의사항*
캡을 조일때는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마세요.

- Press 압착식 연결부속은 바디, 오링, 슬리브고정링 으로 구성됩니다.
- 파이프와 슬리브 고정링이 압착되어 기밀이 유지됩니다.

- 파이프 절단시 전용절단기를 사용하여 절단하세요.
- 파이프의 절단면은 파이프와 직각이어야 합니다.
*주의사항*
톱이나 기타 절단기로 파이프 절단 시는 절단면에 부스러기 등 이물질이 남아 파이프와 연결 부속간에 기물이 유지되지 않아 누수가 될 수 있습니다

1. 파이프 절단후 파이프 규격에 맞는 압착식 부속에 파이프를 삽입합니다.
*주의사항*
슬리브 고정링 끝 홈에 파이프가 보일때까지 끝까지 삽입해야 합니다.


- 부속에 파이프를 사입 후 압착식 공구로 슬리브 고정링을 압착한다.
*참고사항*
압착식 공구는 수동, 자동 2가지가 있습니다.
*주의사항*
압착 부위가 원형으로 고르게 압착이 되었는지 원형홈이 뚜렷이 나타났는지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합니다.